목록전체 글 (89)
까마귀코딩.log
국비학원에서 비000, 쌍0, k0 이렇게 3개가 유명하다고 들었고, 그 중에 0000 에 가게 되었다. 다른 널리고 널린 학원 (ㅇㅈ)에서 국비수업 듣고있는 친구를 보자니 선생님도 학생들도 큰 의지가 안느껴졌다고 생각했어서 여기 학원을 정말로 기대한것은 사실이다. 면접도 봐야만 들어 갈수있고, 멀리서 많이 온다고 알고있었다. 학원은 최근 졸업했고 개인적으로는 지난 몇개월 인생 최대로 시간낭비 했다고 생각한다. 제일 큰 이유로는 학생의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 기본 매너도 없는 말그대로 폐급 인생만 모아놓은줄 알았다.... 솔직히 그간의 인생에서 만날 일이 없었던 부류의 사람들이다. 공부할 생각은 없고 맨 연애사에 파벌싸움에 선 넘는게 내가 왜 이런 사람들하고 시장통에서 공부하고 있는 느낌을 받아야 하지싶..
string utils class commons lang 3 자바랜덤 문자열 생성하는 라이브러리 널체크 알아서 자동으로 해줌 자바에서 리턴값 두개 ? 다른언어에서는 튜플? 이라는 타입이 있는데 자바에서는 없나보다.. 자바에서 할려면 클래스를 만들어서 튜플타입을 사용해야한다. 리턴값을 여러개 정할수 있는 방식 - 스트링 조작할려고 할때 사용하면 좋을것 이다~ commonsIO
자바 메일 ptr ptr 은 dns ptr 레코드를 나타내는 클래스 이다. dns ptr 레코드는 ip 주소에서 호스트 이름으로의 역방향 조회를 가능하게 해주는 !! 역방향 조회 가능하게 해주는 DNS 의 레코드 유형중 하나이다. java mail api 에서 Ptr 클래스는 javax.mail.internet.PTR 패키지에 속해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DNs ptr 레코드의 값을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역방향 조회를 수행할수 있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dns ptr 레코드를 생성할수 있다. PTR ptr = new PTR("example.com"); 이렇게 생성한 ptr 객체는 dns ptr 레코드의 값을 나타내며, 자바 메일 에이피아이의 다른 클래스와 함께 사용가능하고 역방향 조회를 수행할수 있..
spf -> 발신자 정책 프레임워크 -> spf 는 이메일 수신자가 이메일의 "발신자"필드에 있는 도메인을 대표하여 보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입니다. dkim -> 도메인 키 식별 -> dkim 은 이메일 발신자가 이메일을 보낸 후 , 이메일을 변조하지 않았음을 인증하는 프로토콜 입니다. spf - > 권한 있는지 확인 dkim -> 변조 여부 확인 dmarc -> 도메인 기반 메시지 인증 보고 및 합의 -> dmarc 는 spf 및 dkim 의 결과를 모아서 이메일이 스팸 또는 사기 메일인지를 결정하는 프로토콜 이다. -> 그니까 두개써서 스팸이거나 사기메일인지 보고 차단해주는게 dmarc spf-> spf 레코드를 생성해서 이메일 보내는 서버 Ip 주소가 권한 있는지 검증한다..

돔은 뭔가요 ? 문서 객체 모델의 약자이고 웹 페이지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고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에이피아이입니다. 즉 html xml 또는 다른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파싱하기 문서의 각 요소들을객체로 나타내어 프로그래밍 적으로 조작할수있게 하기 기능이 있고 이를통해 웹 페이지의 동적인 변화를 구현하고, 이벤트처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수 있습니다. html 요소는 웹페이지에서 화면에 보이는 요소들을 말한다. 예를들어 p 태그 h1 태그 div img 등이 html 요소에 해당됩니다. 요소들을 태그로 정의되며 속성을 가질수 있다 dom 에서 html 요소들은 엘리먼트 객체로 나타나는데 엘리먼트는 html 문서에서 정의된 태그와 그 태그에 대한 속성을 포함한것입니다. xml 문서안..
spf 가 뭐였는지 기억나는대로 써보자. 일단 메일 인증 하는 프로토콜 뭐를 발급 받아서 하는 서비스였는데 뭐가 뭐였더라 장점은 인증이 발급 불가해서 생길수 있는 단점이 있었고 음냐 자 다시한번 더 정리해보자. spf를 목적, 기능, 검증법, 장점, 단점 으로 나눌것이다. spf를 사용하는 목적 : 도메인 소유자가 이메일 서버의 권한을검증해서 -- 위조방지 하려는 목적 spf가 갖고있는 기능 : 레코드 생성 (spf 레코드) 해서 서버ip주소가 권한있는지 권한검증 spf가 사용하고있는 검증방법 : 이메일 수신자가 / 이메일의 출처 이랑 / /를 비교해 그리고서 유효한지 유효성 확인해 spf의 장점이 뭘까? : 이메일 서버의 권한검증으로 이메일위조방지기능이있다 -- 위조방지 !! spf의 단점은 뭘까? :..
@valid 입력값을 검증하는데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 자바에서 메서드나 클래스에서 파라미터를 받을때 , 이 값을이 예상한 대로인지 검증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하낟. 이때 , @vali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해당 파라미터가 유효한 값인지 검증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수 있다. @valid 는 주로 spring 에서 사용되는데 스프링에서 얘를 통해서 하는게 요청이나 응답 객체의 데이터 유효성 검증을 자동화 하는것이다 !! 이를 통해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 ,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수 있따 !!! @requestbody 스프링에서 http 요청의 body 부분에 있는 데이터를 메서드의 파라미터로 매핑해주는애다 왜 매핑하려나 ~~~~ 스프링에서 @requestbody 를 사용하면 http 요청의..
경로설명 / 최상위 디렉토리로 모든 파일 시스템은 이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입니다. /bin 시스템 관리자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실행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boot 커널 부팅 과정에서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dev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장치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etc 시스템 전반적인 설정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home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들어있는 디렉토리 /lib 시스템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 /media 이동식 미디어(USB, CD-ROM 등)가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디렉토리 /mnt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디렉토리 /opt 추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디렉토리 /proc 시스템 정보와 프로세스 정보를 담은 ..
# MySQL 완전 삭제하고 재설치하기 (MacOS) ## MySQL 프로세스 죽이기 (homebrew로 설치했을 경우) ``` brew services stop mysql ``` (launchctl을 등록했다면 내리기) ``` sudo launchctl unload -w ~/Library/LaunchAgents/homebrew.mxcl.mysql.plist ``` ## 관련 파일 삭제하기 설치 경로 확인하기 ``` which mysql /usr/local/bin/mysql ``` homebrew로 삭제하기 ``` brew uninstall --force mysql ``` 혹은 ``` brew uninstall mysql --ignore-dependencies brew remove mysql brew c..